본문 바로가기

일본3

한일 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국제 변수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일본은 한국 영토인 독도를 자신들 영토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영유권 주장으로 인해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자주 경색되었다. 한국 입장에서야 독도는 확고하게 지배하고 있는, 완전한 한국 영토다 보니 일본의 이러한 행보가 현실성 없는 비이성적인 행위임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도발이 있을 때마다 강하게 항의하는 식으로 일관하고 있다. 반대로 일본은 독도 문제에서 열세에 있는 위치다 보니 자존심과 감정에 호소하는 식으로 분쟁을 일으킨다. 한국이 여유만만한데 비해 일본은 더욱 강하게 독도를 도발하고 툭하면 국제사법재판소로 가자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래서 잊을만하면 한국의 영토에 대해 일본 측에서 도발적인 발언을 하다 보니 한국에서 일본을 신뢰하지 못하게 되었다. 반대로 중국과 일본이 .. 2023. 4. 6.
한국과 일본의 갈등 원인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본의 과거 일본 제국시기의 행보, 이후 각국 정부에서 반일 감정과 반한 감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행태, 일본 정치권이 과거 일본 제국 시기 군국주의의 과거를 반성하지 않고 미화하여 주변국에 불신을 주는 것이 원인이다. 한국은 한일병합조약을 불법으로 보지만 일본은 합법으로 본다. 식민지배 피해자들에 대해서도 한국은 "정부 간 배상이 끝났다는 것은 동의하지만 그 당시 논의되지 않았던 문제와 개인적 배상은 아직 남아있다"는 입장이지만 일본은 "개인 배상청구권은 인정하나 그것을 국가가 외교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이는 단지 양국의 입장을 간단하게 추린 것이며 실제로는 훨씬 복잡하다. 애초에 한일기본조약이 '이미 무효'라는 '중의적인 표현'을 써서 애매하게 맺은 조약인데다.. 2023. 4. 4.
일본,러시아 석유 수입으로 인한 미국과의 갈등..국익이란 무엇인가 미국 주도로 시행되고 있는 러시아산 석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어기고 높은 가격으로 러시아 석유를 수입한 일본이 미국과 갈등을 겪고 있다. 일본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서방과 함께 참여했지만, 에너지 시장에서는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일본은 서방과 함께 대 러시아 제재에 동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 호주와 협력하는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에서는 동맹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본이 올해 가격 상한을 넘긴 가격으로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로 인해 일본은 미국의 가장 가까운 아시아 동맹국 중 하나에서 동맹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2023. 4. 3.